[그래픽뉴스] 싱크홀<br /><br />전국 곳곳에서 비가 내리고 있죠.<br /><br />어제 밤사이에도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집중호우가 쏟아졌는데요.<br /><br />폭우 탓에 싱크홀 사고가 발생해 가슴을 쓸어내리게 만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늘의 그래픽 뉴스, 입니다.<br /><br />싱크홀은 땅 아래에 빈 공간이 생기게 되고, 결국 도로나 건물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지반이 내려앉아 지면에 커다란 웅덩이나 구멍이 생기는 현상을 말하는데요.<br /><br />해외 사건으로 접하던 게 2010년대 이후에는 국내에서도 꽤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2013년부터 5년 동안 전국에서 발생한 싱크홀이 4,500건이 넘는다는 통계도 있는데요.<br /><br />지하에 빈 공간이 생기는 원인으로는 인근 공사 작업이나 상수도관 파열, 지하 암반의 침식 등이 꼽히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땅속의 지하수가 빠져나가면서 석회암 주성분인 탄산칼슘을 녹이는 것도 땅속에 빈 공간이 생기는 이유 중 하나인데요.<br /><br />오늘도 충남 당진의 한 주차장에서 폭우로 발생한 대형 싱크홀에 승용차가 빠지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싱크홀의 지름과 깊이가 최소 2m 이상으로 알려졌는데, 여기로 차가 절반 가까이 빠져들어 간 겁니다.<br /><br />차 안이나 근처에 사람이 없어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는데요.<br /><br />대형 싱크홀 사고는 지난달 12일 대구에도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왕복 2차선 도로에 지금 10m, 깊이 7m 규모의 구멍이 뚫린 건데요.<br /><br />밤늦은 시간에 발생한 데다 통행도 뜸한 곳이어서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, 상수도관이 파열되면서 인근 가구에 단수 사태가 벌어졌습니다.<br /><br />대형 싱크홀로 인한 피해를 막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?<br /><br />지형 변화나 지하수 흐름을 파악해 땅이 꺼질 위험이 높은 지역을 사전에 집중 관리하는 게 최우선인데요.<br />그 일환으로 국토교통부는 한국국토정보공사에 위탁해 지하공간 통합지도, 즉 싱크홀 위험지도를 제작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전조증상이 있는 경우 조기 신고를 통해 정밀조사를 진행하는 것도 중요하겠죠.<br /><br />도심형 싱크홀의 경우 벽에 균열이 생기거나 못이 튀어나오는 경우, 또 창문이나 방문을 잘 여닫을 수 없는 경우를 전조증상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결국은 도로 위아래의 시설물 점검만 제대로 해도 어느 정도는 싱크홀을 예측할 수 있다는 건데요.<br /><br />미리 알고 대비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에 적극 힘써야 하겠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그래픽뉴스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